top of page

2020-수능 물리1-17번 문항 초간단 풀이

  • 작성자 사진: 여의도과학 최과학
    여의도과학 최과학
  • 2019년 11월 19일
  • 1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2년 10월 28일


2020-수능 물리1-17번 문항풀이에서 단순 산수만 이용해서 초간단 풀이가 가능합니다.

ex) ( )+ 2 =3 이정도 산수만 가능하면 17번 문제 풀이가 가능합니다.


2020-수능 물리1 -17번 문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ree

p 에서 q로 이동 할 때 역학적에너지가 2E 증가하고, r에서 역학적에너지가 3E가 감소합니다.



아래 그림에 간단히 풀이 했습니다.

ree

이때, 아래쪽에 보조선 하나 수평으로 그립니다. 왜냐하면 멈추는 위치를 기준점으로 정해서 퍼텐셜 에너지를 0으로 하면 풀이가 더 편리합니다.




ree

p점의 운동E : q점의 운동E = 1:2 라고 문제 조건이 있고, 퍼텐셜E은 높이가 4배이므로 그냥 그것도 그대로 비례값으로 식에 대입합니다.





ree

그리고 역학에너지가 2E 증가해서 q점에서 역학에너지가 3E 이므로, 처음 p점에서 역학에너지는 1E 입니다.





ree

따라서, p점의 운동에너지와 r점의 운동에너지가 1:6이므로, 답이 쉽게 구해집니다.







항상 물리1-킬러문항으로 출제되던 역학문제가 올해 수능에서는 상대적으로 쉽게 출제 되었습니다. 고2-과학탐구 선택과목으로 물리학1을 선택하거나, 고3-수능 과학탐구 과목으로 물리학1을 선택하는 것도 한 번 고려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ree

공대에서는 4년내내 배우는 과목이 물리학 관련 과목이라서 이공계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은 물리학을 선택하고는 싶지만 내용이 어렵고, 내신이 잘 안 나올까봐 고민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015개정 교육과정 물리학1은 기존 물리1보다 내용이 30%이상 감소했고, 킬러문항 출제 단원인 4단원(토크,부력등)이 물리학2로 이동했으므로, 물리학1내용이 기존보다 쉬워졌으므로 수능에서 물리학1을 선택하는 것을 한번 고민해 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ree


더 자세히 얘기하자면,

2021-수능 물리학1에서는 2015 교육과정으로 개편되면서 기존의 물리1 교육과정이던 "토크, 베르누이, 부력, 송전, 전기장, , RLC, 정상파, 현진동, 관진동, 일반상대성, 기본입자"등이 모두 제외 되었습니다. 물리학1 학습량이 30%정도는 줄어든 것 같습니다.


기존 물리1에서 토크와 부력을 함께 물어보는 문항 역시 킬러 문항이었는데, 이중에 토크(돌림힘)는 물리학2로 단원이 이전 되었습니다.


앞으로 2020년 이후의 내신과 수능에서 과학탐구 과목으로 물리학1을 선택하는 것을 한 번 고려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댓글


더 이상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소유자에게 문의하세요.

02-761-7477

©2019 by 최과학 과학전문학원

​한길스터디 주식회사

(구 한길학원 2003-2019)

02-761-7477

​교육청운영등록증:제3673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78 홍우빌딩 5층 507호


bottom of page